1. 면접 대비 준비

1. 1분 자기소개

안녕하세요. 변화와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신입 개발자 박형주입니다.

대기업을 다니며 업무 자동화 관련 Tool과 웹 페이지를 직접 만들고 싶어 Python 공부를 진행했었습니다. 공부를 하다 보니, 다양한 웹 사이트를 둘러보고 그것에 맞는 기술 스택을 찾아보면서 ‘나와,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사용했을 때 유용한 웹 페이지를 만드는 개발자가 되자’라는 꿈을 꾸게 되었습니다. 이후 어떠한 개발자가 될 지 고민하다 DB ERD 설계와 API 개발 등 Logic적인 것을 개발하는 것에 흥미와 재능이 있다고 생각하여 백엔드 Node.js 엔지니어를 선택했습니다.

2. 팀스파르타 사전질문 대비

팀 스파르타의 핵심가치 의미에 맞게 일한 본인의 경험에 대한 답변을 준비해주세요.

  1. 빠르게

전 회사에 다닐 때 CMP 공정 설비에서 Defect(불량) 관련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주먹구구식 일처리가 아닌 데이터 분석과 Testing을 통해 간략하고 빠르게 문제를 해결한 경험이 있습니다.

CMP 공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의 약자로써, 반도체 웨이퍼를 화학적인 요소와 물리적인 힘을 통해 표면을 갈아 평탄하게 만드는 작업입니다. 공정 특성 상 타 공정에 비해 신 기술이여서 문제점이 많으며, 또한 화학적 물리적인 작업이 동시에 들어가기 때문에 Defect이나 반도체 웨이퍼가 얼마나 갈렸는지에 대한 Profile에 대해 문제점이 아직까지는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설비 내부에 들어가 직접 부품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촉감으로 만져보는 주먹구구식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들이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 저는 불량 혹은 Profile 관련 문제에 대해 요청이 오면, 먼저 각 설비들의 특징과 부품들의 시리얼 넘버 등 데이터 기반을 통해 먼저 분석하고, 이로 인해 어떠한 부분에 문제점이 있다면 그 부분의 부품만 확인하여 문제를 해결하곤 하였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문제점에 해당하는 부품들을 전체 확인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 기반을 통한 문제 해결을 통해 시간을 단축하고 해야할 일만 간결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키웠습니다.

  1. 와우하게

CMP 공정에서 특정한 부품을 Calibration(교정)할 때, 적합한 Tool이 없어 기구설계를 경험하여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게 편하고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는 기구를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