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약 90%의 시장 점유율로 웹 브라우저 시장을 지배하고 있던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는 웹페이지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경량 프로그래밍 언어를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자바스크립트’이다.
마이크로소프트 : JScript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 : JavaScript
자사 브라우저의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자사 브라우저에서만 동작하는 기능을 추가하기 시작
→ 이로 인해, 브라우저에 따라 웹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 발생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 측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표준을 관리하는 비영리 표준화 기구인 ECMA 인터내셔널을 통해 JavaScript의 표준화를 요청한다.
→ 이로 인해, 상표권 문제로 JavaScript는 ECMAScript로 명명되었고 이후 매년 버전을 업데이트
초창기 JavaScript는 웹페이지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한정적인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 대부분의 로직은 주로 웹 서버에서 실행되었고, 브라우저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HTML과 CSS를 단순히 Rendering 하는 수준이었다.
JavaScript를 이용해 서버와 브라우저가 비동기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