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3.0이란?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기반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데이터 소유를 개인화 하는 3세대 인터넷

Web1.0 ‘읽기’ 중심의 초기 인터넷 기술이며, 소유자가 제공하는 정보만 확인할 수 있다.

정적 콘텐츠 만들기 → 소비 구성

Web2.0

제공되는 플랫폼 안에서 우리는 다른사람이 만든 정보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정보를 직접 게시할 수도 있게 되었다.

youtube, Blog, Facebook 등

▪︎ 웹의 핵심 가치인 개방성 저해

▪︎ 사용자 개인과 제작물 정보를 플랫폼이 소유

▪︎ 사용자 정보와 데이터로 플랫폼이 수익 창출 및 정보 통제

▪︎ 특정 플랫폼에서 개인정보 대량 유출 사건 발행

중앙화가 핵심이다.

Web3.0

정보의 읽기와 쓰기를 넘어 소유를 개인이 가능하게 만들어 개인화된 인터넷 환경을 구성

중간 관리자를 제거하고 단일 기관에 제어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정보의 소유가 개인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하고, 이로 인해 블록체인이 중요해졌다.

Web 3.0 구성에 블록체인이 주목받는 이유는 정보의 암호화와 분산화를 통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때문입니다. 앞서 언급한 사용자 간의 P2P는 블록체인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각 블록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위변조가 어렵습니다.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플랫폼이 아니라 다시금 개인이 정보를 소유하게 되기 때문에 운영 주체가 플랫폼이 아닌 네트워크로 변경됩니다.

블록체인?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탈중앙화 시스템이다. 일련의 순서로 연결된 데이터 단위(‘블록’이라고 함)로 구성된 일종의 분산 장부 기술(Decentralized Ledger Technology)로, 각 블록에는 이전 블록의 고유 번호가 담겨 있어 체인을 형성한다. 일종의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며, 암호화폐에 활용되는 것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투명성과 탈중앙화 장점을 활용하여 스마트 계약이나 거버넌스 합의 플랫폼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요? 어떤 원리로 작동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