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이란?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7 Layer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참조 모델 7계층
1970년대에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OSI 7계층 모델을 만든 네트워크 기본 구조 가이드
OSI 7계층을 나눈 이유
- 컴퓨터 통신 구조의 모델과 앞으로 개발될 프로토콜의 표준적인 뼈대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참조 모델 → OSI 7계층 모델을 알면 네트워크 구성을 예측하고 이해할 수 있다.
-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의 흐름을 꿰뚫어 볼 수 있으며, 각 계층은 독립되어 있다.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다.
탄생 배경
- 1960년대에 미 국방성에서 알파넷이라는 이름으로 최초 네트워크를 개발 후 미국 내에 배포함
미국을 시작으로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 하려니, 네트워크에 규칙이 없어서 난장판 이었음
- 1970년대에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OSI 7계층 모델을 만들어서 네트워크 기본 구조를 가이드
네트워크를 계층화한 7개 계층은 각각의 규칙을 가지고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가이드
- 1990년대에 최종적으로 OSI 7계층 모델보다 먼저 나와 검증완료된 TCP/IP 규칙(프로토콜)이 표준
따라서, OSI는 7개의 계층을 가지고 있지만 오래된 TCP/IP 프로토콜은 5개의 계층만 가진다.
참조
IT위키
OSI 7 계층 - 해시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