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quence Diagram이란?

특정 행동이 어떠한 순서로 어떤 객체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표현하는 행위 다이어그램

현재 존재하는 시스템이 어떠한 시나리오로 움직이고 있는지를 나타내는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시퀸스 다이어그램을 이용하면 API 등의 유즈 케이스를 디테일하게 알 수 있고, 타 시스템의 API호출 등의 로직을 모델링 할 수 있어 시나리오 파악하기 좋다.

Lifeline

모델링 되는 인스턴스를 나타냅니다. Lifeline은 네모와 점선을 이루어져 있으며, 네모가 객체의 관점으로 표현했다면 클래스이고, 서비스 관점으로 표현했다면 컴포넌트가 됩니다. 점선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냅니다.

Untitled

Activation

Lifeline의 인스턴스가 다른 인스턴스와 상호 작용을 하며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Activation은 직사각형의 막대로 Lifeline의 점선 가운데에 표시합니다.

Untitled

Message

메세지는 인스턴스 간 주고 받은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요청과 응답(HTTP 통신 기준)으로 나타냅니다.

유형 내용
동기 메시지 (Sync message) 요청을 보낸 후 반환이 올때까지 대기
비동기 메시지 (Async message) 요청을 보낸 다음 반환을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수행
자체 메시지 (Self message) 자기 자신에게 요청을 보냄
반환 메시지 (Reply/Return message) 요청에 대해 메시지를 반환

동기 메세지